본문 바로가기
세모양(영양제)

자궁근종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는?

by 세.모.양 2024. 7. 2.
반응형

생각보다 많은 여성분들이 여성 호르몬 질환(자궁근종, 자궁내막증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복용하면 도움이 되는 보충제에 대해 알아봅니다.

 

 

자궁근종, 자궁내막증이란?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 세포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며,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부에서 자라는 질환입니다. 이 둘의 원인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으면 자궁 내막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거나 자궁근종의 크기를 키울 수 있습니다. 그 외 유전적 요인(가족력), 스트레스, 환경호르몬, 식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러한 질환의 발생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 및 자궁내막증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되는 영양성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반응형

 

1. 비타민D

여성호르몬 관련 질환(자궁근종 및 자궁내막증)에 도움이 되는 여러 영양성분의 연구가 있는데, 특히 비타민D를 주목할만합니다. 

비타민D와 자궁내막증
혈중 비타민D 수치와 자궁내막증의 연관성 평가

 

 

비타민 D는 자궁내막증의 위험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비타민D 결핍이 자궁내막증과 관련이 있으며, 비타민D 보충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비타민 D 보충이 자궁내막증 관련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매일 2,000 IU를 섭취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보고했습니다​.

 

▶ 복용량 : 하루 2,000 ~ 4,000IU 

 

2. 오메가 3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2017년에 발표된 연구(The impact of dietary intake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endometriosis.)에서 오메가 3 지방산 섭취가 자궁내막증의 위험을 줄이고, 염증을 낮추며, 통증과 염증 과정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란딘 경로를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 복용량 :  하루 1,000 ~ 2,000mg (EPA와 DHA 합산)

 

3. 마그네슘

마그네슘은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로 인해 자궁내막증 환자에게 잠재적인 이점을 보여주었습니다. 마그네슘 효과의 중요한 측면은 근육 이완제 역할을 하여 월경 통증과 경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생리통이 있는 여성의 경우 마그네슘 수치가 낮은 경우가 많으며, 보충제를 섭취하면 이러한 증상이 크게 완화될 수 있습니다.

 

▶ 복용량 : 하루 300 ~ 400mg

 

4. 항산화제

항산화제와 자궁내막증
비타민 C 및 E 항산화 보충제는 자궁내막증의 통증 증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비타민 C와 E와 같은 항산화제는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LOS ONE"에 2023년에 발표된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에서는 이들 항산화제가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의 만성 골반 통증, 월경통 및 성교통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연구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통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있어 비타민 C와 E의 잠재적인 능력을 제시했습니다.

 

▶ 복용량 :  비타민C 일일 1,000mg 및 비타민E 일일 400 IU

 

+ 피크노제놀

프랑스 해상 소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피크노제놀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자궁내막증 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 달 동안 매일 피크노제놀 30mg을 복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성의 복통, 월경통 및 기타 자궁내막증 증상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복용량 :  하루 60 ~ 120mg

 

5. 피해야 할 음식 및 성분

석류, 홍삼 등의 음식과 대두 이소플라본 및 레드 클로버와 같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수치를 증가시켜 자궁내막증과 자궁근종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물론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s)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양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자궁내막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고 보고한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의존성 질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것은 연구 방법이나 섭취량, 섭취 기간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단 병원에서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으면, 약으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엔 호르몬제 복용(비잔정, 야즈 등)이 먼저 시행됩니다. 위의 영양성분은 병원약과 함께 복용해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근본 치료제가 아닌 증상을 완화 혹은 더 나빠지지 않게 예방해 주는 보조제이므로, 병원 치료를 잘 따르며 정기적인 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